이 튜토리얼은 Google Kubernetes Engine(GKE) 클러스터에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HTTPS 부하 분산기로 노출하는 데 관심이 있는 클라우드 설계자 및 운영 관리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
GKE 클러스터 만들기
다음 Terraform 파일에서 GKE 클러스터를 만듭니다.
다음 Terraform 파일에서 전역 IP 주소와 Cloud DNS 영역을 만듭니다.
Terraform을 초기화합니다.
terraform init
인프라 변경사항 보기:
terraform plan
메시지가 표시되면
my-domain.net
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세요.Terraform 구성을 적용합니다.
terraform apply --auto-approve
메시지가 표시되면
my-domain.net
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세요.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.
Apply complete! Resources: 1 added, 0 changed, 0 destroyed. Outputs: cluster_name = "networking-cluster" region = "us-central1"
외부 애플리케이션 부하 분산기 만들기
다음 매니페스트에서는 ManagedCertificate, FrontendConfig, 배포, 서비스, 인그레스를 설명합니다.
DOMAIN_NAME
을 도메인 이름으로 바꿉니다(예:my-domain.net
).이 매니페스트에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습니다.
networking.gke.io/managed-certificates
: ManagedCertificate의 이름networking.gke.io/v1beta1.FrontendConfig
: FrontendConfig 리소스의 이름kubernetes.io/ingress.global-static-ip-name
: IP 주소의 이름kubernetes.io/ingress.class
: GKE 인그레스 컨트롤러에 외부 애플리케이션 부하 분산기를 만들도록 지시
매니페스트를 클러스터에 적용합니다.
kubectl apply -f kubernetes-manifests.yaml
인그레스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kubectl describe ingress frontend
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.
... Events: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---- ------ ---- ---- ------- Normal ADD 2m loadbalancer-controller default/frontend Normal CREATE 1m loadbalancer-controller ip: 203.0.113.2 ...
인그레스가 프로비저닝되는 데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.
애플리케이션 테스트
SSL 인증서 상태를 확인합니다.
kubectl get managedcertificates.networking.gke.io networking-managed-cert
SSL 인증서를 프로비저닝하는 데 최대 30분이 걸릴 수 있습니다. 다음 출력은 SSL 인증서가 준비되었음을 나타냅니다.
NAME AGE STATUS networking-managed-cert 28m Active
curl
명령어를 실행합니다.curl -Lv https://DOMAIN_NAME
출력은 다음과 비슷합니다.
* Trying 34.160.115.33:443... * Connected to DOMAIN_NAME (34.160.115.33) port 443 (#0) ... * TLSv1.3 (IN), TLS handshake, Certificate (11): ... * Server certificate: * subject: CN=DOMAIN_NAME ... > Host: DOMAIN_NAME